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FC 샬케 04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샬케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유럽의 e스포츠 구단에 대한 내용은 Schalke 04 문서
Schalke 04번 문단을
Schalke 04#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파일:FC 샬케 04 로고.svg
F.C. Schalke 04
FC 샬케 04FC 샬케 04 II크나펜슈미데

파일:FC 샬케 04 로고.svg
FC 샬케 04
FC Schalke 04
정식 명칭Fußball Club Gelsenkirchen-Schalke 04 e. V.
별칭'''{{{#004a9d Die Königsblauen (로얄 블루스)
Die Knappen (광부들)}}}'''
창단1904년 5월 4일 (120주년)
소속 리그2. 분데스리가 (2. Bundesliga)
연고지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뮌스터 현 겔젠키르헨
(Gelsenkirchen, Nordrhein-Westfalen)
홈구장펠틴스 아레나 (Veltins-Arena)
(62,271명 수용)
라이벌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레비어 더비
로트바이스 에센
슬로건파일:wirlebendich.png [1]
회장공석
이사장파일:독일 국기.svg 악셀 헤퍼 (Axel Hefer)
이사회파일:독일 국기.svg 모리츠 되르네만 (Moritz Dörnemann)
파일:독일 국기.svg 유리 뮐더르 (Youri Mulder)
CEO파일:독일 국기.svg 마티아스 틸만 (Matthias Tillmann)
단장파일:독일 국기.svg 페터 크네벨 (Peter Knäbel)
파일:독일 국기.svg 안드레 헤헬만 (André Hechelmann)
기술단장파일:독일 국기.svg 마티아스 쇼버 (Mathias Schober)
대변인파일:독일 국기.svg 올라프 톤 (Olaf Thon)
코디네이터파일:독일 국기.svg 게랄트 아자모아 (Gerald Asamoah)
감독파일:벨기에 국기.svg 카럴 헤라르츠 (Karel Geraerts)
수석코치파일:독일 국기.svg 마르쿠스 겔하우스 (Markus Gellhaus)
파일:독일 국기.svg 미케 뷔스켄스 (Mike Büskens)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베니아미노 몰리나리 (Beniamino Molinari)
주장파일:독일 국기.svg 지몬 테로데 (Simon Terodde)
역대 한국인 선수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동경 (2022)
공식 웹사이트파일:FC 샬케 04 로고.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팬 커뮤니티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
지난 시즌 성적
(2022-23 시즌)
분데스리가 17위
약칭S04
우승 기록

독일 챔피언십 (1부)
(7회)
1933-34, 1934-35, 1937, 1938-39, 1939-40, 1941-42, 1957-58
가우리가 베스트팔렌 (1부)[2]
(11회 / 최다 우승)
1933-34, 1934-35, 1935-36, 1936-37, 1937-38, 1938-39, 1939-40, 1940-41, 1941-42, 1942-43, 1943-44
2. 분데스리가
(3회)
1981-82, 1990-91, 2021-22
DFB-포칼
(5회)
1936-37, 1971-72, 2000-01, 2001-02, 2010-11
DFL-슈퍼컵
(1회)
2011
DFB-리가포칼
(1회)
2005
UEFA 유로파 리그
(1회)
1996-97
UEFA 인터토토컵
(2회 / 최다 우승)
2003, 2004
클럽 기록
최고 이적료 영입브렐 엠볼로 (Breel Embolo)
(2017년, From FC 바젤, 2,650만 €)
최고 이적료 방출리로이 자네 (Leroy Sané)
(2016년, To 맨체스터 시티 FC, 5,000만 €)
최다 출장클라우스 피히텔 (Klaus Fichtel) - 556경기 (1965 - 1980 / 1984 - 1988)
최다 득점에른스트 쿠초라 (Ernst Kuzorra) - 419골 (1923 - 1950)

2022-23 시즌 골송
2023-24 시즌 유니폼 킷
width=120width=120width=120
HOMEAWAYTHIRD
메인 스폰서슬리브 스폰서유니폼 메이커
파일:meinautologo.png파일:Harfid-Bau-Logo-Transformed.png파일:아디다스 로고.svg[[파일:아디다스 로고 화이트.svg


FC 샬케 04 산하 스포츠단
축구
E스포츠농구핸드볼
시각장애인축구탁구육상

1. 개요
2. 스쿼드
2.1. 1군
3.1. 요약
3.2. 역대 엠블럼
4. 역대 감독
6. 응원가
6.1. Blau und Weiß, wie lieb ich Dich
7. 라이벌
10. 이야깃거리
11. 유명 선수
12. 같이보기



1. 개요[편집]


파일:Bundesliga-Schalke-04-v-Borussia-Moenchengladbach.jpg
Die Königsblauen

독일 2.분데스리가에 속한 축구 클럽. 광업 도시로 유명한 겔젠키르헨을 연고지로 하고 있어 '광부들(Die Knappen)'이라는 별명이 있으며, 팀의 상징색을 따 로얄 블루스(Die Königsblauen)라고도 불린다. 1963년 분데스리가 출범 이후 우승이 없어 바이어 04 레버쿠젠과 함께 2인자 위치를 담당하고 있었다.

2019-20 시즌 후반기부터 20-21시즌 중반까지 정규시즌 30경기 연속 무승이라는 불명예 기록을 작성하였고, 33년만에 2부리그로 강등당했지만, 2021-22 시즌 2. 분데스리가 우승을 거두며 1부리그에 돌아왔다.

그러나 1부리그에서 다시 시작된 지속적인 부진으로 단 1시즌만에 다시 2부리그로 강등되고 말았다.


2. 스쿼드[편집]



2.1. 1군[편집]


파일:FC 샬케 04 로고.svg
FC 샬케 04 스쿼드
[ 펼치기 · 접기 ]

FC 샬케 04 2023-24 시즌
번호포지션국적한글 성명로마자 성명비고
1GK파일:독일 국기.svg랄프 페어만Ralf Fährmann
2DF파일:네덜란드 국기.svg토마스 아우베얀Thomas Ouwejan
3DF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레오 그라이믈Leo Greiml
5MF파일:잉글랜드 국기.svg데리 존 머킨Derry John Murkin
6MF파일:독일 국기.svg론 샬렌베르크Ron Schallenberg
7FW파일:독일 국기.svg파울 제귄Paul Seguin
8MF파일:독일 국기.svg대니 라차Danny Latza주장
9FW파일:독일 국기.svg지몬 테로데Simon Terodde부주장
10MF파일:독일 국기.svg리노 템펠만Lino Tempelmann
11FW파일:프랑스 국기.svg브리얀 라슴Bryan Lasme
14FW파일:일본 국기.svg코즈키 소이치로Soichiro Kozuki
17MF파일:독일 국기.svg유수프 카바다이Yusuf Kabadayi[a]
18MF파일:코소보 국기.svg블렌디 이드리치Blendi Idrizi
19MF파일:튀르키예 국기.svg케난 카라만Kenan Karaman
21MF파일:독일 국기.svg니클라스 타우어Niklas Tauer[b]
22DF파일:말리 국기.svg이브라히마 시세Ibrahima Cissé
24MF파일:독일 국기.svg도미니크 드렉슬러Dominick Drexler
25DF파일:독일 국기.svg티모 바움가르틀Timo Baumgartl
26DF파일:체코 국기.svg토마시 칼라스Tomáš Kalas
27DF파일:스위스 국기.svg세드릭 브루너Cédric Brunner
28GK파일:독일 국기.svg저스틴 헤케렌Justin Heekeren
29FW파일:독일 국기.svg토비아스 모어Tobias Mohr
32GK파일:독일 국기.svg마리우스 뮐러Marius Müller
34GK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미하엘 랑거Michael Langer
35DF파일:폴란드 국기.svg마르친 카민스키Marcin Kamiński
39DF파일:독일 국기.svg조이 뮐러Joey Müller
40FW파일:독일 국기.svg제바스티안 폴터Sebastian Polter
41DF파일:독일 국기.svg헤닝 마트리차니Henning Matriciani
42FW파일:독일 국기.svg케케 토프Keke Topp
43MF파일:독일 국기.svg아산 웨드라오고Assan Ouédraogo
51DF파일:네덜란드 국기.svg스티븐 판데르슬로트Steven van der Sloot
구단 정보
감독: 토마스 라이스 / 홈 구장: 펠틴스 아레나
출처: 공식 홈페이지






3. 역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FC 샬케 04/역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 요약[편집]


  • 1부/분데스리가: 1963-1981, 1982-1983, 1984-1988, 1991-2021, 2022-2023 (54시즌)


3.2. 역대 엠블럼[편집]


파일:FC 샬케 04 로고(1963~1971).svg파일:FC 샬케 04 로고(1971~1978).svg파일:FC 샬케 04 로고(1978~1995).svg파일:FC 샬케 04 로고.svg
1963~1971 1971~1978 1978~1995 1995~


4. 역대 감독[편집]


||
[ 펼치기 · 접기 ]

1990년 ~ 현재
40대(대행)
피셔
파일:독일 국기.svg
41대
리스티치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42대(대행)
피셔
파일:독일 국기.svg
43대
라테크
파일:독일 국기.svg
44대
슐트
파일:독일 국기.svg
45대
베르거
파일:독일 국기.svg
46대(대행)
노이
파일:독일 국기.svg
47대
스테번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48대
노이바르트
파일:독일 국기.svg
49대(대행)
빌모츠
파일:벨기에 국기.svg
50대
하인케스
파일:독일 국기.svg
51대(대행)
아흐터베르흐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52대
랑닉
파일:독일 국기.svg
53대(대행)
레크
파일:독일 국기.svg
54대
슬롬카
파일:독일 국기.svg
55대(대행)
뷔스켄스/멀더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56대
뤼턴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57대(대행)
뷔스켄스/레크/멀더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58대
마가트
파일:독일 국기.svg
59대(대행)
아이흐코른
파일:독일 국기.svg
60대
랑닉
파일:독일 국기.svg
61대(대행)
아이흐코른
파일:독일 국기.svg
62대
스테번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63대
켈러
파일:독일 국기.svg
64대
디 마테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66대
브라이텐라이터
파일:독일 국기.svg
67대
바인치에를
파일:독일 국기.svg
68대
테데스코
파일:독일 국기.svg
69대(대행)
스테번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65대
바그너
파일:미국 국기.svg
70대
바움
파일:독일 국기.svg
71대(대행)
스테번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72대
그로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73대
그라모지스
파일:그리스 국기.svg
74대(대행)
뷔스켄스
파일:독일 국기.svg
75대
크라머
파일:독일 국기.svg
76대(대행)
크로이처
파일:독일 국기.svg
77대
라이스
파일:독일 국기.svg
78대(대행)
크로이처
파일:독일 국기.svg
1대~39대





5. 유니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FC 샬케 04/유니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응원가[편집]



6.1. Blau und Weiß, wie lieb ich Dich[편집]


FC 샬케를 대표하는 응원가 중 하나로 홈경기에서 경기가 시작하기 전에 이 응원가가 울려퍼진다.

Blau und Weiß, wie lieb ich Dich
파일:FC 샬케 04 로고.svg
Blau und Weiß, wie lieb ich Dich
가사
[ 펼치기 · 접기 ]

'''{{{#808080 Blau und Weiß, wie lieb ich Dich
파랑과 하양, 내가 당신을 얼마나 사랑하는지요
Blau und Weiß, verlass mich nicht
파랑과 하양, 나를 떠나지 말아요
Blau und Weiß ist ja der Himmel nur, der Himmel nur
파랑과 하양은 참으로 유일한 천국이지요, 유일한 천국
Blau und Weiß ist unsere Fußballgarnitur
파랑과 하양은 우리의 축구팀이에요
Blau und Weiß ist ja der Himmel nur, der Himmel nur
파랑과 하양은 참으로 유일한 천국이지요, 유일한 천국
Blau und Weiß ist unsere Fußballgarnitur
파랑과 하양은 우리의 축구팀이에요
Hätten wir ein Königreich
만약 우리가 왕국을 가졌다면
Machten wir es den Schalkern gleich
우리는 샬케 축구팀과 똑같이 만들거에요.
Alle Mädchen, die so jung und schön, so jung und schön
정말 젊고 아름다운, 정말 젊고 아름다운 모든 소녀들
Müssten alle Blau und Weiß spazieren gehn
모든 파랑과 하양의 사람들은 산책하러 가야 합니다.
Alle Mädchen, die so jung und schön, so jung und schön
정말 젊고 아름다운, 정말 젊고 아름다운 모든 소녀들
Müssten alle Blau und Weiß spazieren gehn
모든 파랑과 하양의 사람들은 산책하러 가야 합니다.
Mohammed war ein Prophet
무함마드는 예언자였죠
Der vom Fußballspielen nichts versteht
축구하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는 자였죠[1]
Doch aus all der schönen Farbenpracht, der Farbenpracht
하지만 모든 아름다운 화려한 색상으로부터
Hat er sich das Blau und Weiße ausgedacht
그는 과연 파랑과 흰색을 생각했을까요?
Doch aus all der schönen Farbenpracht, der Farbenpracht
하지만 모든 아름다운 화려한 색상으로부터
Hat er sich das Blau und Weiße ausgedacht
그는 과연 파랑과 흰색을 생각했을까요?
Tausend Feuer in der Nacht
밤의 수많은 불들은
Haben uns das große Glück gebracht
우리에게 엄청난 행운을 불러와줘요
Tausend Freunde, die zusammenstehn, zusammenstehn
함께 서 있는, 함께 서 있는, 수많은 친구들
Dann wird der FC Schalke niemals untergehn
그러면 FC 샬케는 절대로 패배하지 않을거에요
Tausend Freunde, die zusammenstehn, zusammenstehn
함께 서 있는, 함께 서 있는, 수많은 친구들
Dann wird der FC Schalke niemals untergehn
그러면 FC 샬케는 절대로 패배하지 않을거에요
}}}'''

[1] 이 두마디가 이슬람 비하 논란을 일으켰었다.


7. 라이벌[편집]


같은 베스트팔렌 주의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와는 라이벌 관계로 더비 매치를 형성한다. 이를 레비어 더비, 혹은 베스트팔렌 더비라고 한다. 레비어 더비 쪽이 더 많이 불리는 이름.

로트바이스 에센과도 라이벌리가 형성되어 있었으나 에센이 몰락하며 현재는 주목도가 떨어진다.

헤르타 BSC와도 라이벌 관계에 있다. 선수 사이에는 큰 감정이 없어 보이지만 서포터들의 경우 도르트문트와 비교해도 전혀 좋은 편이 아니다.


8. 크나펜슈미데[편집]


문서 서두에도 있지만 유망주들, 특히 샬케 유스 출신 유망주들을 잘 키워내는 클럽이다. 샬케에서 성장해 타 팀으로 간 선수들을 보면 현재 두 말 없이 세계 최고의 키퍼로 인정받는 마누엘 노이어, 베르더 브레멘레알 마드리드를 거쳐 아스날 FC에서 에이스를 맡았던 메수트 외질, 분데스 탑 레프트백을 먹고 아스널 FC로 갔다 돌아온 세아드 콜라시나츠, 샬케의 주장을 맡다가 유벤투스 FC로 이적했던 베네딕트 회베데스, VfL 볼프스부르크를 거쳐 파리 생제르맹 FC로 이적한 율리안 드락슬러, 맨체스터 시티 FC를 거쳐 바이언으로 이적한 리로이 자네, 중원에서 맹활약해 국대에도 뽑히고 바이언으로 이적한 레온 고레츠카, 성장이 정체되었다가 수비형 미드필더로 포변한 후 드디어 만개한 막스 마이어가 있다.

비단 타 팀으로 이적한 선수가 아니라도 랄프 페어만처럼 샬케에 남아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 선수도 있다. 또한 마티야 나스타시치나빌 벤탈렙같이 자리를 잡지 못한 유망주를 사와서 주축으로 써먹는데도 능하다.

하지만 이렇게 선수를 잘 키워내는 것과는 반대로 최근들어 선수 장사를 정말 못하고 있어서 팬들에게 욕을 먹고있다. 선수와 재계약을 제대로 맺지도 못하는 사이에 타 팀이 먼저 끼어들면서 꽤 비싼 가치에 팔 수 있는 선수를 이적료 1유로도 못받고 FA로 내보낸 케이스가 2년동안 무려 3명이다. 16/17시즌 분데스 탑급 레프트백이었던 세아드 콜라시나츠가 FA로 아스널 FC로 이적한 것을 시작으로, 레온 고레츠카가 팀과의 재계약을 거절하고 17/18시즌 종료 후 계약이 만료되며 바이에른 뮌헨으로 FA로 이적했으며, 막스 마이어도 계약 만료와 함께 FA로 크리스탈 팰리스 FC로 이적했다.

현대축구에서 이적시장의 시세가 점점 올라가고 있고, 더구나 3명중 2명은 재정적으로 매우 강력한 EPL 팀으로 이적한데다 콜라시나츠는 많은 팀들이 품귀현상을 겪어 최근들어 가격이 급속도로 올라가고 있는 풀백 자원임을 감안하면, 이 셋을 FA로 놓치며 입은 재정적인 타격은 막대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1군에서 자리잡은 선수들만 있는것은 아니다. 펠릭스 플라테, 마르빈 프리드리히, 파비안 레제, 파스칼 이터, 요주아 비터, 도니스 압디야이, 마르셀 조보트카 등 1군에서 자리잡지 못하고 하부리그로 이적한 선수들도 물론 있다.

2019년부터 나심 부젤랍, 레벤트 메르잔, 아흐메드 쿠투주, 잔 보즈도안이 등장하며 아직 유스풀은 죽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지만 이 선수들도 순서대로 부진을 겪었다.

2020-21시즌 1군 선수들의 줄부상으로 인해 플로리안 플리크, 루카 슐러, 케림 찰하놀루, 매슈 호페, 죄렌 알러스, 미카일 마덴, 바실리오스 파블리디스, 메메트 아이딘, 헤닝 마트리차니, 브루클린 에체, 블렌디 이드리치가 1군으로 콜업되었다.


9. 재정적 문제[편집]


2021년 들어 엄청난 부채에 시달렸다. 200m, 250m, 300m 등 정확한 수치는 밝혀지지 않았다. 약 160m 유로로 추측된다.

2001년 펠틴스 아레나를 건축할때 생겨난 190m의 부채에서 시작해 이적시장에서의 손해, 거기다 결정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무관중 경기로 인해 부채가 늘어났다. 2020-21시즌 리그 최하위로 강등이 확정되면서 상황은 더 악화된다.

그럼에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략하자 연간 1천만 유로와 승격 시 2천만 유로 + 500만 유로 보너스를 포기하고 가즈프롬과의 계약을 파기했다. 새로운 스폰서는 베스트팔렌의 부동산 업체 비바베스트로, 현지 보도에 따르면 연간 450만 유로 수준을 지원받는 조건이다.

2023-24시즌에는 다시 2. 분데스리가로 팀이 강등되었는데, 스폰서마저 잃게 되며 메인스폰서 없이 시즌을 시작하게 되었다. 시즌이 시작한 후 현재 경기장 명명권을 가지고 있는 펠틴스와 1년계약을 맺으며 어떻게든 땜빵으로 메꾸긴 했지만... 이로인해 베른트 슈뢰더 회장이 사임했다.

10. 이야깃거리[편집]


  • 분데스리가 출범 후에 이상하게 우승 운이 없는데, 준우승만 일곱 번을 기록했다.(1972, 1977, 2001, 2005, 2007, 2010, 2018) 레버쿠젠 못지 않는 준우승 역사도 있다. 1970년대에는 승점 1점이 뒤져서 우승을 못한 적도 있으며, 2000-01 시즌의 4분 챔피언은 역사에 남을 준우승으로 기억되고 있다.

  • 연고 지역이 광산업의 쇠퇴로 침체되었지만, 샬케 팀에 대한 그들의 애정은 변함 없다. 그래서 새로 입단하는 선수들도 이런 연고지 팬들의 고마움을 느끼라고 광부 체험을 한다고 한다.[3] 어렵게 돈 벌어서 우리를 위해 티켓을 사는거니 최선을 다해 뛰어주라는 것. 하지만 정말로 아이러니 한 것은 샬케의 광산업이 망한것이 러시아의 저가 석유&천연가스 공세였는데[4], 샬케는 그 광부들의 팀 슬로건을 가지고서 구단의 메인스폰서가 러시아 최대의 석유재벌 가스프롬이었다. 한 마디로 석탄광부 팀이 외국 석유회사한테 후원받는 기묘한 관계였다.

  • 샬케라는 팀명은 창단 당시 겔젠키르헨 시 외곽 지역에 있던 샬케 지역의 이름을 따 와서 만들어졌다. 이 후 행정 개편으로 겔젠키르헨 시에 샬케 지역이 합병되면서 샬케는 팀 이름으로만 남게 됐다. 단 홈구장 펠틴스 아레나와 그 이전 홈구장 파르크슈타디온은 겔젠키르헨 시 내의 샬케 지구가 아닌 엘레(Erle)에 위치해 있다.#

  • 보통 Schalke나 Schalke 04(Null-Vier)라고 부른다. 샬케의 팬은 샬커(Schalker)라 부른다.

  • 여느 독일의 축구 클럽이 그렇듯 상당한 팬들을 보유한 클럽이며 그만큼 강성 울트라스들도 많이 보유한 팀이기도 하다.
샬케의 울트라스 UltrasGe와 1. FC 뉘른베르크의 UN94는 관계가 좋다.

  • 2020-21 시즌 강등이 확정되자 성난 일부 팬들이 계란과 물건을 던지며 선수와 코치진을 향하여 폭언 폭행을 일삼았고, 폭죽도 날아다녔으며 일부 선수들은 물건에 맞아 피를 흘리는 상황까지 발생했다고 한다. 이들은 선수들이 버스에서 내리는 순간까지도 위협을 가했다고 한다. 집단으로 콜라시나츠, 무스타피 등 일부 선수들을 응징하기 위하여 추격하는 일까지 벌어졌다.https://youtu.be/FOpUqfxv7tc(58초부터) 살기 위하여 필사적으로 달리는 선수들과 미친듯이 뒤쫒는 팬들의 모습이 고스란히 화면에 담겼다. 이에 샬케04는 성적부진에 대해서 죄송한 마음을 전한다면서도 선수단에게 어떠한 위협이나 해를 입힐 경우 강경대응 하겠다고 예고했다. 아무리 성적이 승점자판기 수준으로 망가졌다고 해도 선수들를 폭행하고 화풀이 대상으로 삼는 것은 용납될 수 없는 비인간적 행태이다.

  • 2020년 이후 감독 선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강등 시즌 부임했던 마누엘 바움, 휘프 스테번스[5], 크리스티안 그로스[6], 디미트리오스 그라모지스는 샬케에서 경질당한 후 2023년까지도 새로운 팀을 맡지 못하고 있다. 승격한 뒤에도 프랑크 크라머가 10경기만에 잘렸고, 보훔에서 경질된 토마스 라이스로 겨우 자리를 매꿨다.

  • 사상 최악의 독재자로 꼽히는 아돌프 히틀러가 샬케04를 지원했다는 의혹이 있다.[7] 히틀러는 독일 국민의 단합을 꾀하고 체제 안정을 위해 샬케04에 막대한 지원을 퍼부었고 주변 국가 구단들과 경기를 치르게 하는 등 정치적인 목적으로 이용했다는 의혹이 있었다. 관련 기사 샬케 구단 측은 이런 주장에 대해 어이없어하면서 "쓰레기같은 주장이다!" 라고 공식적으로 반박했다. 사실 전쟁기간 동안 나치가 샬케04 선수들은 징집을 의도적으로 하지 않았다는 주장이 있었으나 당시 샬케의 에이스였던 에른스트 쿠초라프리츠 스체판같은 선수들도 징집이 되었으므로 위의 기사의 주장은 신빙성이 떨어진다.

  • 1971년 분데스리가 승부조작 사건에 다수의 선수들이 연루되었으며 이를 부인하며 선수들이 맹세까지 했지만 이것조차 거짓인게 들통나며 현재까지도 라이벌팀들에게 FC 위증(FC Meineid)이라고 까이고 있다.

  • 1976년 바이에른 뮌헨7:0으로 이긴적이 있는데 이 점수차는 뮌헨이 당한 최다 점수패이다.





  • 하드보일드한 전쟁영화인 특전 유보트에서 뜬금없는 개그 신으로 짤막하게 등장한다. 라디오로 경기 중계를 듣던 갑판장이 빡쳐서 수병들에게 '샬케가 5-0으로 졌다. 결승에는 못가겠군.' 하는 장면이다.



11. 유명 선수[편집]


||
[ 펼치기 · 접기 ]




12. 같이보기[편집]


||
[ 펼치기 · 접기 ]



파일:독일 축구 연맹 로고(1926~1995).png
분데스리가 원년 멤버

[1] "우리는 너를 통해 살아간다"라는 의미로 사실 문법에 어긋나는 문장이라 우리말로 해석하면 뜻이 어색하게 보인다.[2] 분데스리가 출범 이전의 리그로 이 리그에서 우승한뒤 다른 지역 리그에서 우승한 팀과 붙는 방식이었다.[3] 이는 역시나 인접한 지역에 연고한 도르트문트도 마찬가지.[4] 독일에서 쓰이는 에너지의 42%가 러시아산 천연가스다[5] 감독 대행으로 단 4일간 자리를 맡았다.[6] 60세를 넘긴 고령이었으며, 2012년 이후 중동에서 주로 활동한 인물이다.[7] 열렬한 팬이었다는건 사실과 다르다. 히틀러는 축구 경기를 관람한 기록이 올림픽 경기 하나에 불과할 정도로 축구에 별로 관심이 없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5 04:20:23에 나무위키 FC 샬케 04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